신용평가 모형의 적정성 여부
1. ‘신용평가’모형의 성능지표
1) K-S 통계량
■ K-S 통계량은 가정된 특정 분포와 실제 경험적 분포의 비교를 통해 가정된 분포가 적절한지 통계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각각의 분포에서 누적밀도함수를 구해 둘 사이 거리의 최대값을 통해 통계적인 분석을 하는 것입니다.
■ 신용평가 모형에서는 정상기업과 부도기업에 대한 평가점수의 누적 분포를 비교함으로써 정상기업과 부도기업을 구분하는 능력을 아래 그림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. K-S 통계량은 값이 클수록 변별력이 크다고 할 수 있는데, 참고로 그 기준은 asymptotic theory 를 바탕으로 단축검정을 가정해서 구한 유의수준 및 표본의 크기에 따른 임계치를 이용합니다.
2) PSI (Population Stability Index)
■ PSI 는 기업 신용평가 모형개발 전, 후에 신용등급별 기업의 구성비 차이에 대한 변화 정도를 측정한 편차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. PSI는 데이터의 크기와 무관하고, 시간의 흐름에 따른 분포의 변화를 계량화 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.
일반적으로 PSI가 0.1인 경우 모집단 분포가 충분히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, 0.25 이상인 경우 모집단 분포가 상당히 불안전하기 때문에 모형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.
등급 |
기준시점 기업 수 |
기준시점 구성비 |
현재 기업 수 |
현재 구성비 |
Contribution to Index |
7 |
1,200 |
12 |
825 |
11 |
0.001 |
6 |
1,300 |
13 |
850 |
11 |
0.002 |
5 |
1,350 |
14 |
900 |
12 |
0.002 |
4 |
1,100 |
11 |
875 |
12 |
0.000 |
3 |
1,050 |
11 |
825 |
11 |
0.000 |
합 계 |
6,000 |
4275 |
0.005 |
||
PSI = 0.005 |
2. 신용평가 모형의 적정성
구 분 |
성능지표 |
적정 기준치 |
당사 지표값 |
적정성 |
변별력 |
K-S 통계량 |
30%이상 |
38.5% |
충족 |
안정성 |
PSI |
0.25 미만 |
0.028 |
충족 |
* 모형의 대상 및 정보에 따라서 지표값은 다소 유동적일 수 있음.
■ 신용평가 모형의 변별력을 검증하는 K-S 통계량은 30% 이상인 경우 변별력이 확보되는 것으로 판단하며, 모집단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PSI는 0.25 미만인 경우 모집단의 분포가 안정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는 바, 당사의 기업 신용평가 모형은 적정기준을 충족하고 있습니다.
기업신용평가 제출서류 및 수수료 안내
[wpdm_file id=12][wpdm_file id=13]